<aside> 💡

2025 한일 글로컬 임팩트 컨퍼런스란 ?

중소벤처기업부 X 유디임팩트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본 컨퍼런스는 한국과 일본의 공통된 주제인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을 해결하기 위해 투자, 행정, 창업, 연구 등 각 위치에서 지역의 해법을 만들어 온 전문가들이 모여 로컬에서 글로벌로, 다시 로컬로 이어지는 선순환 협력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글로벌 컨퍼런스 행사 입니다.

UD IMPACT STORY,

유디임팩트는 지난 10년간 전국의 로컬 창업 현장에서 **‘지역의 변화는 현장 안에서, 서로의 연결로부터 시작된다’**는 답을 찾아왔습니다. 이번 컨퍼런스는 그 현장의 경험을 토대로, 한국과 일본의 로컬이 서로 배우고 협력하는 실질적 네트워크의 첫 시도의 국제 컨퍼런스 입니다.

</aside>

컨퍼런스 개요 (Conference Intro)


컨퍼런스 명칭 2025년 한일 글로컬 임팩트 컨퍼런스

컨퍼런스 주제 「Border-Less Local」경계를 넘어, 지속가능한 글로컬 협력

컨퍼런스 일정 2025년 11월 14일 금요일, 13:00 ~ 18:00

컨퍼런스 장소 대전 커먼즈필드 <모두의공터> 1층 (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 85, 1층)

https://maps.app.goo.gl/7FJYZDEY4v1rgmfQ8

<aside>

🚩 2025 한일 글로컬 임팩트 컨퍼런스 신청 바로가기

</aside>

컨퍼런스 세션소개 (Conference Session Intro)


📍 세션별 주요 키포인트

Session 01 “임팩트 투자와 지역 생태계 자본의 새로운 모델”

일본의 SIIF (사회혁신투자재단), Zebras & Company, 한국의 뉴키즈인베스트먼트가 함께 임팩트 투자와 지역 자본 선순환의 새로운 구조를 제시합니다.

✅ 자본이 ‘사회문제 해결의 수단’이 되는 임팩트 투자 생태계의 실제 사례 ✅ 일본과 한국의 투자 관점 비교 : 공공기금 중심 vs 민간 액셀러레이터 중심 ✅ ’이윤을 넘어, 신뢰를 쌓는 투자’ 가 지역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

Session 02 “한일 로컬플레이어 지역 브랜딩 및 공간기획 전략 비교”

”로컬이 스스로 매력을 만드는 방법” , 일본의 NewLocal 과 한국의 어반플레이가 도시와 지역의 경계를 넘나드는 공간 브랜딩 전략과 커뮤니티 기획 노하우를 공유합니다.

✅ 공간이 곧 브랜드가 되는 시대, 로컬 정체성을 디자인하는 방식 ✅ 지역이 일상, 스토리를 콘텐츠로 바꾸는 한일 로컬플레이어의 접근 비교 ✅ 마강래 교수님의 코멘트를 통한 ‘지역성의 경제적 가치’ 학문적 해석

Session 03 “지역 커뮤니티에서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방안”

”로컬의 실험이 세계와 연결될 수 있을까?” SK I E&S, 윙윙, 고베시가 각각 민간 & 커뮤니티 & 공공의 입장에서 지역 기반의 글로벌 협력 모델을 제시합니다.